
Cargo: 러스트의 빌드 시스템이자 패키지 관리자 cargo --version: cargo의 버전을 출력하는 명령어 cargo new (project_name): 새로운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cargo 프로젝트에서는 코드가 src 디렉터리에 생성된다. TOML(Tom's Obvious, Minimal Language): 카고의 설정 파일 형식 [package]: 패키지의 설정을 관리하기 위한 구문들이 시작됨을 의미하는 섹션의 제목 name: 카고가 프로그램을 컴파일할 때 필요한 이름 version: 버전 authors: 작성자 edition: 러스트가 사용할 에디션 [dependencies]: 프로젝트 의존 라이브러리 목록을 관리하는 섹션이 시작하는 부분 크레이트(crate): 러스트에서..

Rust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와 라이브러리를 cargo로 관리한다. cargo new (프로젝트 이름) --bin 위와 같은 명령어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cargo run 프로젝트 내에서 위와 같은 명령어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. hello라는 프로젝트명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. 생성한 프로젝트의 구조이다. "Hello, world!"를 출력하는 코드파일과 cargo 프로젝트 속성파일이다. cargo run으로 파일을 실행하였을 때 결과이다. main.rs 파일이다. 러스트는 관습적으로 .rs 확장자를 사용한다. fn으로 main이 함수라는 것을 알려준다. println!으로 "Hello, world!"를 출력해준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주생성자
- squash merge
- 2차 인터뷰
- Kotlin In Action
- Squash and merge
- python3
- 코틀린
- 확장 함수
- pm.expect
- 코딩테스트
- go 특징
- Basic Type
- git
- 네이버 2022 공채
- solidity
- postman
- mysql
- downTo
- 1차 인터뷰
- java
- pm.test
- string
- postman collection
- graphql
- Python
- github
- DGS Framework
- postman tests
- Kotlin
- hashcod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